리눅스22 출력에 색깔 입히기 정리 및 결과, ansi color 출력에 색깔 입히기 정리 및 결과 일전 C언어 색깔 입히기 포스팅에 이어 일부가 아닌 전체적인 ansi color 코드와 출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https://muabow.tistory.com/173 [C/C++] C언어 출력에 색깔 입히기 예제 C언어 출력에 색깔 입히기 - print color, ANSI color, 설명, 예제 C 언어로 개발을 하다 보면 출력이나 로그에 색깔을 써야 할 때가 있는데 간단하게 정의해 놓고 사용한다. 샘플 코드는 표와 같이 사 muabow.tistory.com 위 포스팅의 코드 확장이라고 봐주면 된다. 스크립트 ansi.sh 내용 ansi color는 shell 뿐만 아니라 C/C++ 및 리눅스의 모든 출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 스크립트 내용과 밑에 결과 화면 .. 2022. 1. 17. Server OS 동향 변화 Server OS 동향 변화 [2000-2015] 한번 잃은 감은 돌아오지 않는다는걸 여실하게 느꼈다. 지금 다시보니까 내가 이런걸 썼다고? 싶다. 15년 이후로 이런 자료를 만들 일이 없어서.. 정확히는 기획이나 트렌드 분석하는 업무랑 좀 멀어지다보니 확실히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감이 떨어진다. 개발만 죽어라해서 건강이 죽기 직전까지 간거 말곤 근 5~6년은 기억에 남는게 없다. 가끔씩 시간내서 업계 동향이나 트렌드 분석을 해봐야겠다. 끝. 2022. 1. 17. linux coredump, core 파일 생성 방법, ulimit linux coredump, core 파일 생성 방법 리눅스 상에서 프로그래밍 작업 시 core 파일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C/C++ 프로그램 실행 중 segmentation fault 발생 시 core 파일을 만들어 디버그 작업을 해야 한다던가.. ulimit 명령어는 시스템 정보(pipe, memory, file size, core size, stack size, descriptor open 개수 등)를 보여주고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그럼 ulimit -a를 통해 시스템 정보를 살펴보자. muabow@muabow:~$ ulimit -a core file size (blocks, -c) 0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scheduling priority (.. 2022. 1. 16. 리눅스 텔넷 특정 사용자 사용 금지, telnet 리눅스 텔넷 특정 사용자 사용 금지 특정 사용자의 텔넷을 이용한 로그인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의 텔넷 로그인을 막는 경우는 ftp만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POP3 를 이용한 메일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경우입니다. /etc/passwd 파일내에 보면 가장 마지막 부분에 shell을 정하게 되어 있는데 이것을 없애줍니다. 즉 아래와 같이 /bin/bash 부분을 /dev/null로 바꾸어 버리면 쉘로 로그인 할 수 없게 됩니다. Sw:x:10014:10014: :/home/sw:/bin/bash Sw:x:10014:10014: :/home/sw:/dev/null 2022. 1. 13. What is 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What is 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1. LINUX의 탄생 배경 1.1. 리눅스의 탄생 리눅스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이며, 리누스 토발즈(Linus B. Torvalds) 가 학생들의 학습 목적으로 개발된 미닉스(MINIX)를 기반으로 유닉스 표준화 규격인 포직스(POSIX)를 도입하여 PC에 사용할 수 있는 유닉스 버전을 개발하기로 결성한 것에서 시작된다. 1.2. GNU 프로젝트(Gnu is Not Unix) 리차드 스톨만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소프트웨어를 공유했던 최초의 공동체이다. 이는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개작, 취합하여 시스템을 완성시킨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1.3. GNU 선언문 GNU프로젝트에선 아래의 자유 보장은 공동체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바라본다. 첫째, 프.. 2022. 1. 13. 리눅스 설치 시 꼭 알아야 할 10가지 노하우 리눅스 설치 시 꼭 알아야 할 10가지 노하우 2005년도에 작성된 리눅스 칼럼을 스크랩해뒀다가 17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보았다.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리눅스 입문자에게 여전히 친절한 내용 같아서 재공유한다. [ZDNet Korea 2005-11-22 12:20] 리눅스는 윈도우가 아니며, 몇 가지 유사성을 띠고 있다 해도 리눅스를 좀 편하게 쓸 수 있으려면 그 전에 "뭔가 새로운 방법"을 배워야 한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소스 복제품으로, 유닉스란 도스(DOS)와 윈도우 이전부터 있던 운영체제이며 다중 사용자용으로 설계된 안전한 운영체제(OS)이다. 다음에 기술할 내용은 리눅스와 다양한 BSD류의 유닉스 기반 *nix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이 글에서는 모두 리눅스에서 사.. 2022. 1. 13. linux vi, vim HTML indent 명렁 linux vi, vim HTML indent 명렁 vi 편집 중 : (콜론)을 눌러 아래의 명령을 입력한다. filetype을 html로 변경하여 smartindent를 html로 동작하게 한다. :filetype indent on :set filetype=html # abbrev - :set ft=html :set smartindent # abbrev - :set si :set ts=2 끝. 2022. 1. 13. [C/C++] 리눅스 C언어 소켓 통신 서버, C++ socket server example 리눅스 C언어 소켓 서버 socket server example 소스코드를 공유한다. 리눅스 C++ 로 작성되었고 이전에 포스팅했던 signal handler library 를 활용하였다. https://muabow.tistory.com/200 [C/C++] signal handler library 활용과 소스코드 공유 signal handler library C/C++ 에는 signal.h 를 사용한 signal 함수가 존재한다. 시스템 인터럽트 외 여러 상황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로 시그널 처리를 하게 된다. 가장 쉬운 예를 들면 ctrl + c를 통해 muabow.tistory.com 자세한 개발환경, 디렉토리 구성, 빌드 방법 등은 github의 README.md 참고하자. https://.. 2022. 1. 11. 이전 1 2 3 다음